카테고리 없음

비문증 완치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by 청강a 2023. 7. 11.

목차

    눈앞에 한 번씩 검정 물체가 날아다닌 적 있으신가요. 실제로 날파리가 아닌데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것을 날파리증 혹은 비문증이라고 합니다. 완치가 가능한 질환인지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문증-완치-원인-파악하기
    비문증

    비문증 완치

    비문증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문증이 노화현상으로 생긴 증상이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가 적응을 해 무뎌지게 됩니다. 만약 망막박리, 망막열공, 망막변성, 포도막염, 유리체 출혈 등의 질환이 원인이라면 레이저로 치료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노화현상의 경우 발생한 비문증은 치료를 하지 않지만 많이 신경이 쓰이는 경우에는 유리체 절세술을 통해 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치료는 커다란 부유물을 작게 만들어 증상을 덜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눈 속에는 망막과 유리체등 많은 기관이 존재하는데 레이저 치료 시 충격으로 인해 망막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부유물이 분해되면서 오히려 그 숫자가 더 늘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합병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떠다니는 형태의 개수나 크기가 수개월 동안 변화가 없다면 수술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안저 검사를 통해 단순히 비문증이라고 진단을 받는다면 검정 물체를 무시하고 지내는 것이 좋습니다. 비문증은 완치의 개념보다는 적응을 하는 것입니다. 갑자기 눈앞에 검은 물체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더 자주 보인다면 다른 질환의 증상일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원인 

    비문증의 원인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중 가장 흔한 원인은 노화현상입니다. 사람의 안구는 수정체 다음 유리체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유리체는 젤리 같은 재형으로 망막과 수정체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습니다. 이 유리체가 노화되면서 수축되고 여기서 떨어져 나온 부유물들로 인해 그림자가져 눈앞에 날파리 또는 검은 실, 거미줄 같은 형채가 보이게 됩니다. 노화 현상 중 하나로 비문증이 생긴 것이라면 치료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다른 질병에 의해 생긴 증상 일 수 있습니다. 망막과 관련된 질환이 생긴 경우도 비문증 증상이 일어납니다. 망막박리, 망막열공, 망막변성 등이 생기면 망막과 유리체 사이의 공간이 생기고 검은색 물체가 떠다니는 듯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유리체 박리가 생겨도 비문증 증상이 나타납니다. 유리체는 젤리형태로 안구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부유물들이 생기면 검정실, 날파리 등 과 같은 형태로 눈앞에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입니다. 백내장 수술 후 비문증 증상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수정체가 혼탁이 되어 눈 속의 부유물이 보이지 않아 수술 전에는 비문증 증상이 느껴지지 않았지만 수술 후 인공수정체가 눈 속에 들어가면서 부유물이 더 잘 보이는 증상입니다. 후발백내장 레이저 치료를 한 뒤 몇 주 동안 눈앞에 검은 형채가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수정체 낭 뒷부분은 열어주는 레이저 치료를 하게 되는데 이때 부유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눈의 내부 구조물을 둘러싸고 있는 포도막에 염증이 생긴 경우에도 비문증 증상이 나타납니다. 고도근시인 경우에는 청년기 이후부터 비문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비문증의 일반적인 증상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형태로 눈앞에 검은 형채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날파리증이라고도 하는데 눈 속의 부유물 형태에 따라서 다른 모양으로 보입니다. 거미줄이 보인다거나 날파리, 지렁이가 보인다고도 표현합니다. 이 검은 형채는 내시야를 따라 보이게 됩니다. 간혹 실제로 눈앞에 있는 것처럼 보여 날파리를 잡으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얀 벽이나 하얀 종이를 배경으로 할 때 더 뚜렷하게 보입니다. 이 부유물은 유리체라는 공간 속에 떠다니는데 망막 가까이에 위치하면 더 진하고 뚜렷하게 보이게 됩니다. 비문증 증상이 시력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눈앞에 계속 검은 점이 날아다니면 신경이 많이 쓰입니다. 비문증 증상과 함께 눈앞이 번쩍 빛이 나는 광시증이 같이 발생한다면 망막박리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