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최근 스미싱( 문자 메세지를 이용한 피싱) 범죄가 증면서 예상치도 못한 문자를 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과 대처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스미싱이란?
스미싱(smishing)은 문자(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URL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통해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사기 수법입니다.
주요 유형
- 택배 배송 조회 사칭 (배송 확인 필수 : 악성링크)
- 정부 기관 사칭 ( 세금 미납 안내: 악성링크)
- 교통 법규 위반 통지 ( 과태료 조회: 악성링크)
- 이벤트 당첨 (스타벅스 쿠폰받기 : 악성링크)
- 가족, 지인 사칭 (엄마, 폰 고장 났어, 급하게 송금해 줘)
스미싱 피해 예방 방법
- 출처 불명의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URL 클릭 금지, 특히 bit.ly 또는 goo.gl과 같은 축 URL은 주의해야 합니다.
- 공식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해서만 정보확인, 택배, 은행, 정부기관 등의 알림은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나 앱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 백신 프로그래 설치 및 최신 버전 유지, 스마트폰 보안 앱( 예: V3 Mobile, 알약 M 등)을 설치하여 악성 앱을 차단하세요.
- 출처 불명의 앱 설치 차단, [설정]-[보안] -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허용" 옵션을 비활성화하세요.
- 문자 내 전화번호로 직접 연락하지 않기, 사기범들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가짜 콜센터 번호를 기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통신사 스미싱 차단 서비스 이용, 이동통신사(SK, KT, LG U+)에서 제공하는 스팸 차단 서비스를 활성화하세요.
- 가족. 지인 사칭 메시지 확인 시 직접 전화하기, 문자로 계좌 이체 요청이 오면 반드시 본인에게 전화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하세요.
스미싱 의심 문자 수신 시 대처법
- 문자 속 링크 클릭 하지 말기 (실수로 클릭했다면 즉시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세요). 돈이 빠져나갈 수 있음
- 악성 앱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설정- 애플리케이션 관리자)에서 의심스러운 앱이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삭제하세요.
- 백신 프로그램 실행 후 악성 코드 검사하기
- 경찰청, 금융감독원에 신고하기
국번 없이 118 (KISA 인터넷진흥원)
언제 어떤 피해가 생길지 모르는 시점에서 24시간 365일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피해예방 및 피싱을 당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곳이라 번호를 알고 있으면 조금 더 빠른 대처가 될거 같습니다.
제가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는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사이트입니다. 의심되는 번호로 문자가 왔을 때 사기피해 신고여부 확인도 가능하고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 통신사 고객센터에 스미싱 신고 및 피해 복구 요청하기
SKT : 1599-6111
KT: 100
LG U+: 114
스미싱 피해 발생 시 조치 방법
- 계좌 정보 유출 시 즉시 금융기관 연락
금융감독원 "금융사기 대응센터 (1332)"에 신고하고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될 경우 주민등록증 재발급 신청
정부 24: www.gov.kr에서 서 재발급 신청 가능
-명의 도용 확인하기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에서 제공하는 명의도용 조회서비스 활용
스미싱 예방은 의심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모르는 발신자 문자 속 링크 클릭 절대 누르지 말고 공식 사이트나 앱에서 정보를 직접 확인하는 습관을 기르고 의심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즉시 신고하셔야 해요.
저 또한 최근 [Web발신] 귀하의 출석을 요구하는 전자통지가 발송되었습니다. 절차에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링크를 받았어요. 누가 봐도 스미싱 스팸 문자라 생각하여 링크를 클릭하지 않았는데 검색해 보니 이 문자를 받으신 분들이 많더라고요.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문자, 특히 부모님께 꼭 얘기해 줘야 할 거 같습니다.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 납부 간단한 방법 (0) | 2023.09.01 |
---|---|
주정차단속 문자알림 서비스 지역별로 신청하기 (0) | 2023.09.01 |
불법주차 신고 포상금 받는 방법과 금액 신고앱 소개 (0) | 2023.08.30 |
노인 보청기 지원금 가격 및 신청방법 (0) | 2023.08.29 |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 조회 및 신청방법 (0) | 2023.08.27 |